선물/선도
선물거래의 경제적 기능
- 가격발견
- 리스크 전가( 소멸 xx )
- 효율성 증대
- 거래비용 절약 가능
증거금과 일일정산제도
증거금
- 개시증거금: 선물 시작할때 계좌에 있어야 하는 증거금
- 유지증거금: 선물거래 유지를 위해 필요한 증거금
- 추가증거금: 유지증거금 밑으로 내려오면 개시증거금수준 까지 채워넣어야 하는 금액
- 일일정산제도로 증거금 변동 여부를 체크
- 이 요구를 마진콜 이라고 함
tmi) 미결제약정: 반대매매(청산당하지 않은) 되지 않는 계약수
선물의 균형가격
균형가격 = 현물가격 + 현물가격 * (금리<시장이자율> - 배당수익률) * (만기일수 / 365)
선물시장의 전략
- 투기적 거래: 저가매수 후 고가매도 ( 선물을 목적으로 하는 것 )
- 헤지거래
- 매도/매수헤지: 선물 매도/매수를 통해 위험 헤지
- 시장베이시스 = 선물가격 - 현물가격 ( 즉,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 차이)
- 랜덤베이시스헤지: 선물 만기시점 이전에 청산하는 경우 ( 만기시점 이전이기에 베이시스값이 랜덤 )
- 제로베이시스헤지: 만기시점까지 가서 청산하는 경우 ( 만기시점에는 선물가격이 현물가격으로 되므로 베이시스가 0이 됨 )
- 스프레드 거래: 만기 또는 종목이 다른 2개의 선물 계약을 이용
- 시간스프레드: 만기가 서로 다른 2 선물 계약을 취하는 것
- 강세 스프레드: 근월물 매입 / 원월물 매도
- 약세 스프레드:근월물 매도 / 원월물 매입
- 시간스프레드: 만기가 서로 다른 2 선물 계약을 취하는 것
- 차익거래: 매수/매도차익거래
+ 금리선도계약(FRA)
- 자금운용금리를 미리 고정시켜 놓는 계약
- NDF(현금결제 선물환) 결제 방식 채택
- 매수 = 자금조달자(차입자) / 매도 = 자금운용자(대여자)
- 표시방식: A x (A+B) FRA
- ex) 1 x 4 FRA : 1개월 후에 발표되는 3개월 금리에 대한 FRA
옵션거래
- 등가격: 행사가격과 기초자산 가격이 동일한거
- 내가격: 당첨 ( 예상 적중 -> 권리 실행 )
- 외가격: 낙첨 ( 예상 실패 -> 권리 폐기 )
옵션 스프레드 전략
서로 다른 2개의 옵션을 취하는 전략
- 강세 스프레드: 기초자산 가격 상승 시 이익 ( 행사 가격이 낮은 것을 매수 )
- 약세 스프레드: 기초자산 가격 하락 시 이익 ( 행사 가격이 높은 것을 매수 )
- 스트래들: 동일한 콜/풋을 매매하는 경우
- 스트랭글: 다른 콜/풋을 매매하는 경우
ex) 행사가격이 80 풋옵션 매수 , 85인 풋옵션을 매도 -> 풋 강세 스프레드
옵션 민감도 영향 주는 거
옵션 가격은 아래에 영향을 받음
- 기초자산: 델타
- 델타에 영향을 주는 감마
- 시간(만기일 까지 기간변동): 세타
- 변동성: 베가
- 무위험이자율:로
스왑거래
- 주로 은행에서 시장조성자 역할을 함 = 브로커(계약 상대방 찾아주기) + 웨어 하우스(직접 거래 대상자)
통화스왑 3단계
계약 시점과 만기 시점의 환율은 동일
- 최초 자금 교환
- 이자 교환
- 원금의 재교환
신용부도스왑(CDS)
- 채권을 산 사람이 채권의 신용을 염려하여, 일정한 프리미엄을 지급하고 제 3자로부터 신용사건 발생 시 원금보장을 받는 거래
- 보장매입자: 내가 산 채권 책임져줘!
- 보장매도자: ㅇㅇ 내가 책임져줌
- 프리미엄 결정요인
- 거래 만기
- 채무불이행 가능성
- CDS 거래 상대방(보장매도자)의 신용등급
- 준거자산 회수율
- 준거자산 신용과 거래 상대방 신용 간의 상관관계
+ 신용연계증권(CLN): 보장매도자가 프리미엄 뿐 아니라 원금에 대한 비용도 받음?
+ 총수익스왑(TRS): 모든 총수익을 일정한 혐금흐름과 교환하는 계약
파생결합증권 ( 파생상품x )
- 일반적으로 '채권 + 옵션 매수(이색 옵션이 대부분)' 구조를 가지고 있는 상품구조
- 채권 + 옵션 매도를 하는 경우도 있음 ( 리버스 컨버터블 )
- 포트폴리오 보험전략이 기초
이색 옵션
- 다양한 구조를 가진 옵션들
종류
- 경로의존형: 현재~만기까지의 가격 경로에 의존하는 것
- 경계 옵션(베리어 or 낙인/아웃 옵션): 베리어 가격에 의해 수익구조가 생기거나 사라지는 구조
- 룩백: 만기일까지 가격중 옵션 매수자에게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행사가격 결정
- 래더:
- 평균옵션: 일정 기간 동안 평균가격이 옵션의 수익구조 결정
- 첨점 수익구조형: 1 아니면 0
- 조건부 프리미엄 옵션 = 디지털 + 디지털베리어
- 디지털: 이항 옵션
- 올오어낫싱: 민기시점에 내가격이면 수익
- 원터치: 만기까지 한번만 내가격이 되면 수익
- 디지털배리어 옵션: 베리어를 안건드리면 수익인 것
- 시간의존형:
- 미국식: 만기 이전에 아무때나 한번 옵션을 행사 가능
- 버뮤다: 특정 일자들 중에 한번 행사 가능
- 선택: 만기일 이전에 풋/콜 선택을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옵션
- 다중변수의존형: 2개 이상의 기초자산 가격에 의해 결정되는 것
- 무지개, 포트폴리오, 스프레드, 바스켓, 퀀토옵션
포트폴리오 보험전략
파생결합증권에 가장 기본이 되는 구조(원금회복)
- 방어적 풋전략: 주식 매수 + 풋옵션매수
- 이자추출전략: 채권 매수 + 콜옵션 매수
- 동적자산배분전략: 주식/채권을 반씩 매수 -> 주가 움직임에 따라 비율 조정
- 콜옵션 복제전략에 해당
'금융3종자격증 >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-5. 부동산펀드 (0) | 2025.03.24 |
---|---|
1-4. 파생상품펀드 리스크관리 (0) | 2025.03.24 |
10. 펀드평가 (0) | 2025.03.23 |
9. 펀드운용 (0) | 2025.03.22 |
8. 세금 (0) | 2025.03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