펀드를 평가하는 목적
- 펀드선정
- 펀드 모니터링: 펀드 점검
- 펀드운용결과 분석
-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( 운용사xxxx )
- 환매/재투자 여부에 대한 결정 때문에 진행
펀드 평가 프로세스
- 성과평가의 기준
- 펀드유형 분류
- 벤치마크 설정
- 성과의 우열 판단(정량 평가)
- 수익률
- 위험
- 위험조정성과
- 평가등급
- 성과의 질적 특성 판단:
- 성과요인
- 포트폴리오 분석
- 운용회사/운용자 정성평가
벤치마크
기준 또는 잣대라는 뜻
가져야할 특성
- 종목과 비중이 정확히 표시
- 구성종목에 투자 가능해야함
- 원하는 기간마다 측정할 수 있어야 함 (특정기간xxxxxxxxxxxx)
- 현재의 투자견해를 반영
- 시작하기 전에 정의되야함
종류
- 시장지수: 모든 대상 종목
- 섹터/스타일 지수: 특정 분야 종목
- 합성지수: 2개 이상 지수 합침
- 정상포트폴리오: 투자 가능 종목만
- 맞춤포트폴리오: 특정 펀드의 운용과 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
평가방법(성과)
- 양적(정략적) 성과평가[ 수치화 가능 ] : 수익률, 위험조정성과, 평가등급이 높을수록, 위험이 낮을수록 양호한 펀드
- 질적(정성적) 성과평가[ 수치화 불가능 ] : 성과요인, 포트폴리오, 운용사의 질적 평가 진행
양적 평가방법
수익률
- 그룹수익률:
- 그룹수익률로 하는 이유: 객관적으로 성과 비교하려고!
- 대표계정 오류: 수익률 좋은 것만 측정(유리한 것만 측정하는 경우)
- 생존계정 오류: 수익률 안좋은거 해지하고 살아있는 것만 측정
- 그룹수익률로 하는 이유: 객관적으로 성과 비교하려고!
- 벤치마크수익률: 펀드의 절대적 평가
- 유형평균수익률: 펀드의 상대적 평가
위험
- 절대적 위험
- 표준편차: 펀드 위험을 알리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.
- 수익률의 변동성을 의미
- VaR
- 표준편차: 펀드 위험을 알리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.
- 상대적 위험( 위 2개가 아니라면 다 상대적 평가)
- 베타: 1보다 크면 공격적 / 작으면 방어적
위험조정지표
- 샤프비율: 가장 대표적인 지표
- 샤프비율 = ( 포트폴리오의 평균수익률 - 무위험이자율 ) /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표준편차
- 젠센의 알파: 기대수익률보다 얼마나 높은지 측정하는 지표
- 젠센의 알파 = 펀드 수익률 - [ 무위험이자율 + 베타 * (시장이자율 - 무위험이자율) ]
- 트래킹 에러: 벤치마크수익률의 차이를 측정하는 지표(추적오차)
- 크면 차이가 많이 난다는 뜻
- 정보비율: 초과수익률에 대한 차이를 측정하는 지표(추적오차)
- 높으면 운용능력이 좋은 것
질적 평가방법
성과요인
- 성과요인: 시장예측능력과 종목선정능력을 보는 것
- 영향받는 것: 자산배분 선택, 투자시점, 운용수익률에 영향을 받음
- 방법: 벤치마크를 이용한 수리모형법, 가상포트폴리오 가 있음
펀드평가보고서
- 사전적/사후적 투자판단을 위해 제공
- 평가 내용
- 유형/등급
- 양적
- 수익률
- 위험
- 위험조정성과
- 질적
- 스타일
- 포트폴리오 분석
'금융3종자격증 >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-4. 파생상품펀드 리스크관리 (0) | 2025.03.24 |
---|---|
1-3. 파생상품펀드 투자 (0) | 2025.03.23 |
9. 펀드운용 (0) | 2025.03.22 |
8. 세금 (0) | 2025.03.22 |
7. 개인정보보호법 / 자금제탁방지 (1) | 2025.03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