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생상품 유형
- 선도형: 손익구조가 선형
- 선도, 선물, 스왑계약
- 옵션형: 손익구조가 중간에 꺽이는 특성
- 옵션
- 합성형: 선도 + 옵션
- 선물옵션, 스왑션
파생상품 구성요소
- 계약단위: 선물계약 1건 ( 1계약 )
- 최소호가단위 = 틱
- 거래량: 매도 or 매수 한쪽의 수량
- 미결제계약: 시장을 움직이는 자금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
파생상품거래 유형
특징 | 선물 | 현물 | |
투기 | 롱 or 숏 한방향만 | o | x |
헤지 | 선물과 현물 반대포지션 (선물 매수 -> 현물 매도) |
o | o |
차익 | 선물과 현물 반대포지션 (선물 매수 -> 현물 매도) |
o | o |
스프레드거래 | 2계약이 반대포지션 (A계약 매수 -> B계약 매도) 선물상품간의 가격차이를 이용 -> 한정된 위험으로 시세차익을 얻는 것을 목표 |
o (2계약) | x |
투기거래
수익률 계산하는 문제 나옴
- 수익률 = 수익금 / 들어간돈(실제증거금률을 의미)
- 항상 선물 돈 계산을 할때는 선물 가격을 다 계산해야함
헤지거래
베타조정헤지
- 베타 = 민감도
- 위험노출 정도의 조정을
-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면 목표 베타를 상향 조정
- 목표 베타가 변동됨에 따라 선물 계약 매수 or 매도 진행
- 계약수(n) = (목표 베타 - 기존 베타) * 포트폴리오 금액 / 선물가격 * 거래승수
차익거래
- 주식포트폴리오 <----- <추적오차>-------> 주가지수 <------- <베이시스 리스크>------> 주가지수 선물
- 차익거래는 선물이론가격에서 +- 수수료를 넘어야지 의미가 있음
스프레드거래
- 스프레드: 2가지의 상이한 선물계약간의 차이
- 상대적으로 저가인 선물을 매수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인 선물을 매도
- 상품 내 스프레드:
- 스프레드가 확대: 근월물 매도, 원월물 매수
- 스프레드가 축소: 근월물 매수, 원월물 매도
선물 vs 선도
공통: 일정 기간 후 거래대상물과 대금이 교환되는 매매예약거래
선물(장내) | 선도(장외) | |
거래금액 | 표준단위 | 제한없음 |
가격형성 | 시장에서 형성 | 거래 당사자 간 협의 |
신용위험 | x | o(계약불이행 존재) |
증거금과 일일정산 | o | x (기본적으로는 없는데 협의할 수는 있음) |
실물인수도 | 대부분 중도청산 ( 실물인수도까지 가지 않음) | 대부분 실물인수도 ( 역외선물환은 예외 - 현금정산 ) |
만기일 | 표준화됨 | 당사자 간 협의로 결정 |
선물게약은 품질, 수량, 인수 시점 등 사전에 결정하지만, 선도계약은 그러지 않음
선물
매일 거래가 끝난 후 포지션을 정리한 투자자 + 미결제계약자까지 포함하여 일일대차를 영(zero)로 만듬
소액의 증거금으로 높은 기대수익률 기대 가능
선물가격
- 선물가격(F) = 현물가격 + 순보유비용
- 순보유비용 = 이자비용 + 보관비용 - 현금수입 - 편의수익
- 금융선물(금융자산)의 경우: 보관비용, 편의수익 = 0
- 상품선물(실물상품)의 경우: 현금수입 = 0
기초자산별 선물이론가격
- 이자율(r) = 우리나라의 경우 CD 이자율이라고도 부름
증거금제도
- 개시증거금: 최초 증거금
- 유지증거금: 유지해야하는 잔액. 이하면 마진콜 발생
- 추가증거금: 마진콜을 받은 경우, 개시증거금까지 돈을 채워야함
옵션
옵션 민감도
- 델타: 기초자산 가격과 연관
- 감마: 델타의 변화와 연관
- 기울기의 변화, 옵션가격변화의 가속도, 비선형민감도 측정지표
- 세타: 시간가치의 감소 속도
- 베가: 변동성
- 로:
민감도 부호
콜옵션 매수 | 콜옵션 매도 | |
델타 | + | - |
감마 | + | - |
세타 | - | + |
베가 | + | - |
민감도 가법성
델타가 a1, 감마가 b1인 콜옵션 x1개 매수, 델타가 a2, 감마가 b2인 콜옵션 x2개 매수
-> 전체 포지션에 대한 델타 = (a1 + b1) * x1 + (a2 + b2) * x2
-> 전체 포지션에 대한 감마 = b1 * x1 + b2 * x2
이 문제는 그냥 총액 얼마인지 더하는 문제 델타인지 감마인지 확인하고 계산하자
옵션 투자전략
방향성, 변동성 전략
- 방향성 전략
- 강세(상승장): 콜옵션 매수, 풋옵션 매도 (+C, -P)
- 낮은 가격을 매수, 높은 가격을 매도
- 강세 콜 스프레드: 현금유출
- 강세 풋 스프레드: 현금유입
- 약세(하락장): 풋옵션 매수, 콜옵션 매도 (+P, -C)
- 높은 가격을 매수, 낮은가격을 매도
- 약세 콜 스프레드: 현금유입
- 약세 풋 스프레드: 현금유출
- 강세(상승장): 콜옵션 매수, 풋옵션 매도 (+C, -P)
- 변동성 전략
- 확대: 스트레들 매수, 스트랭글 매수, 버터플라이 매도
- 스프레들: 동일한 가격
- 스트랭글: 다른 가격
- 축소: 스트레들 매도, 스트랭글 매도, 버터플라이 매수
- 확대: 스트레들 매수, 스트랭글 매수, 버터플라이 매도
p.s) 스프레드는 제한적인 손익만을 노리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 -> 확실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전략
-> 주가 하락이 예상되지만(약세) 확신이 높지 않을 때(스프레드) 초기에 프리미업 순수입(= 현금유입) -> 약세 콜 스프레드
헤지거래 전략
- 보호적 풋: 주식 포트폴리오 보유 + 풋옵션 매수 = 콜옵션 매수와 동일
- 커버드 콜: 주식 포트폴리오 보유 + 콜옵션 매도 = 풋옵션 매도와 동일
- 횡보 국면이나 약간 하락할 것이라 생각하고 외가격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
- 상승시에는 제한적인 이득, 하락시에는 -포트폴리오 손실 +옵션 프리미엄
기타 전략
- 시간 스프레드(= 수평/캘린더 스프레드): 행사가격은 동일하지만 만기가 다른 옵션을 이용
- 수직 스프레드: 가격이 다른
- 수평 스프레드: 만기가 다른
- 스트래들 변형
- 스트립(숏): 2개 풋 매수, 1개 콜 매수
- 스트랩(롱): 2개 콜 매수, 1개 풋 매수